2011년 1월 10일 월요일

맥 OSX 언어 한글 상위로 지정하기

맥 OSX 언어를 한글 상위로 지정하기.
최초 OSX 설치할 때 아무 생각없이 엔터 엔터 눌러서 설치했을 경우 영문 상위로 지정되는데, 이걸 한글 상위로 지정하는 방법입니다. 혹은, 맥을 외국에서 구입했을 경우에 해당 국가의 언어로 지정돼 있을텐데, 이때에도 유용한 방법입니다.


상단 애플 메뉴에서 시스템 환경설정을 선택합니다. 영어로 돼 있으면 System Preferences나 Configurations 정도겠지요.





언어 & 텍스트... Language & text나 International 이라고 돼 있을겁니다. 깃발 아이콘을 찾아서 누르시고






아래처럼 한국어를 맨 위로 끌어놓으시면 됩니다.


맥끼리 외장하드 공유하기


맥끼리 외장하드 공유하기.
외장하드를 맥북에 꼽아서 호빵맥과 공유하는 경우로 보겠습니다.


맥북에 외장하드를 꼽습니다.



데스크탑에 EXT_Drive160 외장하드가 마운트 되었습니다.




시스템 환경설정에서 공유 패널을 열고



파일 공유를 켜고, 공유된 폴더 밑의 + 버튼을 눌러서 공유할 폴더 혹은 외장하드를 고릅니다.
오른쪽의 사용자별 권한 설정을 해 두시면 더욱 편합니다.


이쪽은 공유된 제 호빵맥입니다. 호빵맥에서 네트워크로 제 맥북에 연결된 외장하드를 불러옵니다.



맥북에서 본 외장하드입니다.



상단에 "공유된 폴더"라고 마커가 나타났습니다.

끗이라능...

VMware Fusion에서 가상머신 윈도우 하드디스크 용량 늘리기


아래에서 설명드릴 방법은, "가상머신에서 파일시스템을 조작하는 방법"이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가상머신이 통째로 날아갈 수도 있는 방법입니다. 가상머신 파일을 통째로 외장하드에 복사해 놓고 시작하시는게 데이터 유실이 없을 것입니다.
또한, 시작하기 전에 윈도우 XP의 디스크 검사를 통해 가상머신 하드디스크에 아무 문제가 없는 상태여야 합니다.

직접 해 봤습니다.
OSX 10.6.5에 설치된 VMware Fusion 3.1.2의 가상머신 윈도우 XP(32비트)에서 내장 하드디스크 공간을 16기가로 설정했다가 부족해서 40기가로 올리기.


가상머신 윈도우 XP입니다.



일단 가상머신을 종료합니다.


이 상태에서 커맨드E를 눌러 세팅을 엽니다.



내장 하드디스크가 16기가로 돼 있습니다.



디스크 사이즈를 필요한 용량으로 키웁니다. 여기서는 40기가로 해 봅니다.



해놓고 어플라이 누르시면 끝입니다.



변경 적용이 됐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서, 가상머신 XP에 16기가 하드를 쓰고 있다가, 40기가 하드로 갈아끼워준 셈이 된 겁니다.


가상머신을 부팅해서 보면, 아래와 같이...




예전과 마찬가지로 C 드라이브의 용량은 16기가뿐이지만, 뒤에 할당되지 않은 빈 공간이 생긴걸 볼 수 있습니다.


이제 윈도우 XP에서 파티션 조작할 수 있는 무료 유틸리티를 입수합니다. 안정성 등에 대해서는 전혀 모르겠지만, 일단 정상 동작하는걸 확인했으니 뭐 -_-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저는 테스트에서 http://www.partition-tool.com 에서 다운받은 공짜 버전을 사용했습니다.



바탕화면에 EASEUS Partition Master 6.5.2 Home Edition 이 생겼습니다. 실행합니다.

C 드라이브를 고르고 마우스 우측 클릭 후 "Resize/Move..."를 선택하면 이런 화면이 뜹니다.



지금 16기가로 돼 있고, 빈 공간이 있네요.



위처럼 빈 공간 없이 필요한 만큼 꽉 채워주시면 됩니다.
OK 누르고 프로그램을 종료하면, 적용할것이냐 물어보는데 적용해 주시면 됩니다.



잘 됐다는군요.



네, 가상머신의 하드디스크가 16기가에서 40기가로 용량이 늘어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끝.